실패는 성공을 위한 밑거름

대부분의 큰 성취는 과정에 집중하는 사람에게 찾아오더라고요. 본문

성공노트/목표와 성취

대부분의 큰 성취는 과정에 집중하는 사람에게 찾아오더라고요.

레드매실 2025. 4. 17. 09:33

노력하는 과정에서 결과는 너무 멀고 힘들고,지침과 우울함을 느끼다가
불안함을 해결할 방법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찾은 방법입니다.

 

쉽게 말해서,

결과(성공, 돈, 명성) 말고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작은 행동”과 “오늘 하루”에 더 집중하는 것이에요.


예를 들어볼게요:

❌ 결과 중심 (기대 중심):

  • “내가 이 프로젝트 성공시켜서 대박나야 돼.”
  • “이 (내가 만든)유튜브 영상 꼭 터져야 돼.”
  • “이 투자로 큰돈 벌어야 돼.”

이런 식의 생각은 현실이 기대에 못 미치면
바로 좌절이나 자기비판으로 바뀌어요.


✅ 과정 중심 (지금의 나에게 집중):

  • “오늘 하루 진심으로 3시간만 집중해보자.”
  • “이번 영상은 나만의 스타일을 더 담아봐야지.”
  • “이번 분석은 지난번보다 조금 더 정교하게 해보자.”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결과가 잘 나오든 아니든,
오늘 내가 한 행동에서 오는 자존감과 만족감이 생겨요.

 

그리고 이런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볼 수 있어요:

  •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이 일, 어떻게 하면 조금 더 잘할 수 있을까?
  • 오늘 하루, 나 자신이 뿌듯할 수 있을 만큼 해냈나?
  • 결과가 바로 안 보여도, 지금 이게 나에게 의미가 있나?

핵심은:

“성공했는가?”가 아니라
“나는 오늘 나답게 살았는가?”


당신이 지금처럼 이렇게 스스로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작은 행동 하나에도 의미를 두기 시작한다면,
그건 이미 **깊은 ‘과정 중심의 삶’**이에요.

결국엔 그런 사람에게 결과는,
보너스처럼 따라오는 거예요.

 

“과정에 집중하자”는 말은 특정한 한 사람이나 책에서 딱 정해진 명언처럼 나온 건 아니에요.
하지만 많은 심리학자, 철학자, 자기계발서, 성공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삶의 태도예요.


예를 들어…

🎯 1. 스포츠나 예술 분야에서 자주 쓰여요

  • 선수나 예술가들이 **결과(메달, 평가)**에만 집착하면 오히려 실력이 안 나와요.
  • 그래서 "지금 이 순간,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자"는 태도를 강조하죠.

📘 2. 에크하르트 톨레 –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The Power of Now)』

  • "삶은 여행이며, 그 여행의 매 순간이 목적지다."
  • 현재에 집중함으로써 불안과 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해요.

🧘‍♂️ 3. 불교 철학에서도

  • ‘결과’에 집착하지 말고 **‘행위 자체에 집중하라’**는 가르침이 많아요.
  • 업(karma)도 결국 의도와 과정 중심으로 봐요.

📈 4. 제임스 클리어 – 『Atomic Habits (아주 작은 습관의 힘)』

  • "당신의 목표는 방향일 뿐이고, **시스템(과정)**은 진짜 변화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이 말의 본질은…

결과는 내가 100% 통제할 수 없지만,
오늘 내가 하는 행동과 태도는 통제할 수 있다.

그래서 결과가 아니라,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과정에 집중하는 것.


당신이 지금처럼 깊이 고민하고 묻고 있는 이 순간도,
바로 그 과정의 일부예요.
결과는 뒤따라오고,
그보다 더 소중한 건 당신이 지금 얼마나 진심으로 살아가고 있느냐예요.

 

오늘의 행동은 내가 선택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내가 어떤 일을 시작할지 혹은 어떤 방식으로 접근할지는 내가 선택할 수 있어요.
    • **“이 일은 너무 어려워서 내일로 미루자”**라는 행동도 내가 선택한 거고,
    • **“어려운 일이지만, 차근차근 시작해 보자”**는 행동도 내가 선택한 거예요.
  • 내일이나 미래를 걱정하는 대신, 오늘 내가 할 수 있는 작은 행동을 결정하는 거죠.

태도도 내가 통제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어떤 상황에서 나는 긍정적인 태도로 임할지, 부정적인 태도로 임할지 역시 내 선택이에요.
    • **“이 일이 잘 안 풀릴 거야”**라는 생각은 부정적인 태도이고,
    • **“이 상황도 배우는 과정이다”**라는 생각은 긍정적인 태도예요.
  • 상황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지면, 동기와 행동이 자연스럽게 달라질 수 있어요.

 

"통제 가능"과 "통제 불가능" 구분하기

  •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것은 오늘의 행동, 생각, 태도 등이에요.
  • 하지만 미래나 결과, 다른 사람의 반응은 내가 직접적으로 통제할 수 없어요.

예시로 생각해볼 수 있는 상황:

  • 내가 할 수 있는 것: 매일 일하는 시간을 정하고, 집중력을 높이는 방법을 찾고, 필요한 휴식을 취하는 것.
  • 내가 통제할 수 없는 것: 시장 상황, 예상치 못한 문제, 남들이 어떻게 반응할지.

 

그럼, "내가 통제하는 것에 집중한다면?"

  •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모르지만,
  • 내가 최선을 다한 오늘의 행동과 태도는 결국 자기 자신에게 큰 보상이 되어 돌아오게 돼요.
  • 예를 들어, 개발 프로젝트나 주식투자를 한다면, 결과가 안 좋을 수는 있지만,
    오늘 내가 충분히 공부하고, 분석하고, 신중하게 선택했다면
    그것만으로도 내가 더 나은 사람으로 성장하는 거죠.


결국, **"내가 통제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한다"**는 말은
불안이나 두려움 대신,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하며, 그 과정에서 오는 성장을 믿는 것이에요.

그렇게 매일 작은 성취가 쌓이고,
그것들이 결국엔 큰 결과로 이어지게 돼요.


당신이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고 있는 그 노력들이,
장기적으로 가장 큰 차이를 만들어낼 거예요.

 

 

 

유명한 책 Peak: Secrets of the New Science Expertise의 저자 Ericcson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핵심은, 연습이 외로운 길이라는 것입니다.

 

아 씨1발 심장 맞았어

 

왜 내 길만 외롭고 힘든것인가에 현타가 왔는데
나만 이런것이 아니라는것
목표에 도달한 사람들은 이 길을 걸었을것


한 분야에 헌신하는 길은 외롭고 지루하고 싫증나는 일 일 수 있습니다. 대부분 그렇죠.

그러나 이것이 훌륭한 작가, 스노우 보드 선수, CEO, 가수, 기술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을 나누는 기준이 됩니다. 
성공한 사람들은 지속적으로 연습을 합니다. 그들은 매일 매일 점점 발전하는 과정에 집중하죠.

그러나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사람들은 결과에 치중합니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그들이 컨트롤 할 수 있는 것, 즉 과정에 집중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무엇을 하는지 무시하세요.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무시하세요.
경쟁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해야 하는 정해진 대상은 없습니다.
그냥 당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것, 그것만 중요할 뿐입니다.
- Ryan Holiday

'성공노트 > 목표와 성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언이라고 덥석덥석 믿지 마세요  (0) 2025.02.03
그만두기 기법 |퀴팅기법  (2) 2025.01.18
마인드 차이  (1) 2024.12.12
일론머스크의 사고방식  (0) 2024.11.23
8월 목표  (4) 2024.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