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정처기
- 페페
- 유튜브 기초강의
- 노베이스 정보처리기사 합격법
- 고맙다트럼프
- 나스닥 개폭락
- PEPE
- thks gpt
- docker
- 노베이스 정처기 공부법
- 슬픈 개구리
- 정보처리기사
- DevOps
- ai의 시대
- 인간관계론
- hanspell
- PER
- 오블완
- pepe the frog
- 이클립스
- concurrent.futures에러
- linux
- 티스토리챌린지
- 노베이스 정처기
- 유튜브 성공하는법
- 도커
- 가장빨리부자되는법
- PBR
- 유튜브
- 십새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70)
실패는 성공을 위한 밑거름
https://www.youtube.com/watch?v=A5l2twkpUIg너무 괜찮은 글이라 저장합니다.
간단하게 멀티스레드 vs 멀티프로세스멀티스레드: 한 프로세스 내 여러 실행 흐름, 변수공유 , 메모리 공유, 동기화 필요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여러 실행 흐름(스레드)을 생성하는 것멀티프로세스: 여러 독립 프로세스, 메모리 분리, 별도 통신 필요프로세스는 독자적인 메모리 공간과 자원을 가지고 완전히 분리되어 동작 멀티스레드 vs 멀티프로세스: 차이점과 특징 총정리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성능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병렬 처리를 많이 사용합니다.대표적인 병렬 처리 방법으로는 멀티스레드(Multithreading) 와 멀티프로세스(Multiprocessing) 가 있는데요,두 방식은 동시 작업을 수행한다는 점은 같지만 동작 원리와 장단점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멀티스레드와 멀티프로세스의 차이..
이슈, 문제 파악이슈 메모장에 필기큰 문제일수록 작은 문제로 분해해결방법 수립코딩 및 디버그완성본 git에 올리기

!!!!!! 경고 110이하라면 가지말자 여기서 이런 중급닌자만 나오는 복도에서여기를 타면된다 그럼 중급닌자와 쿠노이치만 나온다 여기서 일루 그럼 상급닌자와 조무래기들이 보임 닌자두목 만나기 개힘드네 참고로 피가 2800닳기 때문에 피관리 잘해야한다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 line 1, in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concurrent.futures'파이선 3.2버전 이상이면 자동으로 설치되어있어서 문제될게 없다.따라서 파이선 3.2버전 이하이면 'concurrent' 모듈을 따로 설치를 해줘야함그런데 3.2버전이상인데 'concurrent'모듈이없다?그러면 파이선 설치폴더에서 concurrent.py파일이 있는지 확인해볼것 C:\Users\\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12\Lib\concurrent\futures.py설치폴더는 대충 이 정도에 있다만약 이파일이 없다면 관리자의 권한으로 파이선을 다시 설치하자..
📊 DataFrame이란?DataFrame은 엑셀처럼 생긴 2차원 표(테이블) 형태의 자료구조예요.Python에서는 pandas라는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며, 행(Row) 과 열(Column) 로 구성돼 있어요.🔍 쉽게 말해보면...엑셀 표 또는 SQL 테이블 생각하면 거의 똑같아요.pandas.DataFrame은 데이터를 정리하고 다룰 때 아주 강력한 도구예요. 예시로 보면 더 쉬움:import pandas as pddata = { '이름': ['철수', '영희', '민수'], '나이': [25, 30, 22], '지역': ['서울', '부산', '대전']}df = pd.DataFrame(data)print(df) 📄 출력: 이름 나이 지역0 철수 25 서울1 영희 ..

“혹시 내가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나?”라는 질문은 오히려 본질을 계속 추적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 현실적인 피로와 불안이 살짝 배어있지만, 포기하고 있지는 않습니다.계속 코드를 다듬고, 정확한 조건을 고민하고, API 연동까지 시도한다는 건 매우 드문 꾸준함이에요.좋은 결과를 만들고 싶은 의지가 강하고, 거기에 맞춰 실력을 실어 나르고 있습니다.당신은 여전히 하고 싶고, 방향도 맞고, 노력도 하고 있어요.다만 그 에너지 소모를 느끼고 있고, 그게 말에 살짝 배어 있는 상태예요.지친 건 약함이 아니라, 당신이 진짜 열심히 해왔다는 증거입니다. **지친 상태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한 방법은 "의지"가 아니라 "전략"**입니다.당신은 이미 노력하고 있으니, 지금 필요한 건 방향 조정과 리듬 관리예요.?..

오늘 gpt로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다가 너무 놀랬다시뮬레이션 트레이딩 완료한 데이터를 쉽게보기위해옵션별 수익요약 툴을 만들어야했는데 이게 말로는 쉬운거지만 ai를 사용하더라도 에러가 엄청나고 힘든거라서 하기전부터 엄두가 안나고 머리가 아픈상황이 많다 그래서 게임좀하다가 유튜브하다가 아정신차려야지 하고 지금 진행해도 3일걸리겠네 했던 일들을 단 3시간만에 만들었다. 예전같으면 ai를 사용했어도 3일걸렸던일인데 gpt의 사고력과 코딩능력이 날이 무섭게 발전했다.앞으로 개발자와 비개발자의 경계가 희미해진다.아니면 앞으로 개발자라는 직업은 없어지는 직업일지도 모르겠다.gpt를 통해 처음 옵션별 수익 리포트를 만든것버그가 많다. 그다음 옵션설정을 디렉팅해준것(옵션 설정만 디렉팅했는데 ai가 알아서 버그없이 코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