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도커
- 이클립스
- PER
- 노베이스 정보처리기사 합격법
- PBR
- 티스토리챌린지
- 십새
- 인간관계론
- docker
- 나스닥 개폭락
- 오블완
- 가장빨리부자되는법
- thks gpt
- DevOps
- 유튜브
- 페페
- 정처기
- 유튜브 성공하는법
- 정보처리기사
- pepe the frog
- concurrent.futures에러
- Crypto.Cipher
- 슬픈 개구리
- 유튜브 기초강의
- ai의 시대
- linux
- PEPE
- 노베이스 정처기
- 고맙다트럼프
- 노베이스 정처기 공부법
Archives
- Today
- Total
실패는 성공을 위한 밑거름
파이선 데이터프레임(dataframe)에 대한 간단한 설명 본문
📊 DataFrame이란?
DataFrame은 엑셀처럼 생긴 2차원 표(테이블) 형태의 자료구조예요.
Python에서는 pandas라는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며, 행(Row) 과 열(Column) 로 구성돼 있어요.
🔍 쉽게 말해보면...
- 엑셀 표 또는 SQL 테이블 생각하면 거의 똑같아요.
- pandas.DataFrame은 데이터를 정리하고 다룰 때 아주 강력한 도구예요.
예시로 보면 더 쉬움:
import pandas as pd
data = {
'이름': ['철수', '영희', '민수'],
'나이': [25, 30, 22],
'지역': ['서울', '부산', '대전']
}
df = pd.DataFrame(data)
print(df)
📄 출력:
이름 나이 지역
0 철수 25 서울
1 영희 30 부산
2 민수 22 대전
'devops > back-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 module named 'concurrent.futures' 에러해결법 (0) | 2025.07.19 |
---|---|
파이선코드 이해가안가서 풀이한것 (개인풀이) (0) | 2025.03.09 |
파이선 롤링의 역할 | python rolling (0) | 2025.03.09 |
파이썬 언어교정 hanspell설치하기 (0) | 2025.02.17 |
파이썬에서 스레드로 동일한 함수사용할때 전역변수 처리 (1) | 2024.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