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는 성공을 위한 밑거름

실행력부족 본문

성공노트/일이 손에 안잡힐때

실행력부족

레드매실 2023. 11. 1. 17:14

 

나는 실행력이 부족하다.

이것이 내 인생의 발목잡고 있는것을 안다. 실행력부족한 나를 위해 여러가지 블로그 글을 보고 중요한 장면만 요약했다.

 


https://brunch.co.kr/@fingerband/41

01. 생각이 들었다면 일단 뭐든 시작부터 해라.



욕심, 계획은 잘 짜는데 정작 실행에 옮기지 못하는 사람들의 문제는 그 안에 도사린 욕심 때문이다. 더 잘 해내고 싶고, 완벽하고 싶은데, 실패했을 때 다른 사람들의 이목까지 두려운 거다. 그래서 한껏 힘을 준다. 너무 잘 해내고 싶은 욕심에 긴장한 몸이 뻣뻣해지는 것이다. 힘을 빼라. 계획한 것도 한 두 개쯤 덜어내라. 연습은 실전처럼, 실전은 연습처럼 해야 한다.

02. 버거우면 쪼개고 쉬워지면 뭉쳐라.
03. 제발 좀 꾸물대지 마라


고소득자일수록 실행 능력이 일반인보다 뛰어나다는 실험 결과를 보여줬다.
그러니 머릿속에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그냥 흘려보내지 말고, 할 일을 미루지 않는다면, 우린 반드시 성공할 수 있다.
침대에서 일어날 때 매일 10분만 꾸물거리지 않아도, 당신은 지금보다 훨씬 크게 성공할 수 있다고 장담한다.  마케팅 강의에서 몇 번 강조했을 것이다. "준비 조준 발사"가 아니다. "준비 발사 조준"이다. 우리 조준하다가 평생을 보내지 말자. 고성능의 아주 멋지고, 잘 정비된 총만 갖고 있다고 되는 게 아니다. 모름지기 총이라면 쏴야 한다. 우리 인생 제대로 총 한 번 발사 못 해보고, 종 치는 건 너무 억울하지 않은가. 


04. 실행력을 날게 하는 4개의 날개



마음을 먹었다면 머뭇거릴 이유가 없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지금 이 순간에도 시간이라는 기회비용은 꼬박꼬박 지불되고 있으니. 여기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세계적인 부자 일론 머스크와 스티브 잡스의 성공 비결이 뭐라고 생각하는가. 그들은 무서울 만큼 치밀한 추진력과 행동력을 가지고 있었다. 스티브 잡스의 일화를 보면, 그가 생을 마감하기 전 날까지 팀 쿡을 병실로 불러 애플의 차세대 출시 상품을 논의했다고 한다.

내가 앉은 책상 머리맡에는 이런 문구가 적혀 있다. "일이 진행되지 않고, 복잡하게 풀리지 않아 머리가 멍해진다면, 써라! 무조건 써라! 아무 생각 없이 그냥 써라!" 흘러가는 시간 공허하게 보내는 것보다 뭐라도 하는 것이 지금의 막막함과 답답함을 깨트려 주는 제일 좋은 방법이다.

05. 실행력의 높이는 7가지 원칙



 언제나 가장 좋은 타이밍은 바로 지금이다.실행력이 뛰어난 사람은 절대 타이밍을 기다리는 법이 없다.
기다리간 끌려 다닌다. 
일론 머스크는 문제를 풀기 시작할 때 미리 가능성을 염두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하다 보면, 길이 열리고, 해결책 또한 생긴다고 믿는다. 내 삶의 주인은 바로 나니까. 해결책도, 성공도 모두 알아서 따라오도록 만들자. 해보지도 않은 일의 성공 가능성 점칠 시간에 뭐라도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 

세 번째, 방해될만한 것들은 애초에 싹을 자른다.
실제로 해보면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 '몰입’에 빠지는 거다. 요즘 우리 주변엔 '몰입'을 방해하는 것들이 너무 많다. 시도 때도 없이 울리는 알람과 SNS 알림, 메일, 전화, 메신저가 일상에 끼어들어 자꾸 훼방을 놓는다.그러니 방해될 만한 것들은 키우지 말고 애초에 싹을 싹둑 잘라내야 한다.

네 번째, 소소한 승리에 기뻐하라!
주변 사람들은 단 번에 몇 걸음씩 앞서 간 것처럼 보이는 이유? 그들이 축지법을 써서가 아니다. 다른 사람 걸음 재느라 당신이 멈춰 섰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 인정할 것은 인정한다.
현실 그대로 존재하는 불안과 두려움을 인정하는 게 중요하다.

여섯 번째, 얻어질 대가를 생생하게 그린다.


06. 새벽을 쥐는 자가 세상을 쥔다.



선물처럼 애초 내 인생에 없던 ‘새벽’이 내게로 왔다. 아침 일찍 일어나는 내 진짜 목표는 새벽 운동이 아니다. 하지만, 나는 아침마다 운동을 한다. 글이 쓰고 싶어서다. 글을 쓰기 위해 새벽에 일어나고, 운동을 한다.

새벽에 일어나 정성 들여하는 또 한 가지 일은 독서다. 읽고 남길만한 것이 있다면, 꼼꼼하게 기록한다. 그렇게 얻은 기록은 다음 날 새벽, 글의 소재 즉, 글감이 된다. 기록된 메모가 재가공되어 발행된 글은 콘텐츠로 발행되고, 반응이 좋으면, 한 번 더 수정하여 쓸모 있게 만든다. 몇 번의 업그레이드 과정을 거쳐 그 가치를 인정받은 글은 다시 전자책이나 종이책으로 만들어진다. 일부는 대본으로 만들어 영상 콘텐츠를 만드는데 쓰고, 영상 콘텐츠에서 또 쓸 만한 것은 음성을 추출, 오디오 콘텐츠로 써먹는다.

https://brunch.co.kr/@steven/31

“행동가가 돼라. 목표를 정하고도 행동하지 않으면 목표는 이뤄지지 않는다.”

– 지그 지글러

지금, 당장, 여기, 이 순간
그냥 하랍니다. 실행력을 높이고 싶다면 기다리지 말라고요


https://brunch.co.kr/@jazzhyojin/2

1. 작게 시작하라

여기 영화감독이 꿈인 스무살 청년 A가 있습니다. 생전 영화에 대해서는 공부해본적 없는 이친구가 영화감독을 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취해야 할 행동은 무엇일까요?

1) 영화과 대학교에 진학하기
2) 영화학원 등록하기
3) 봉준호 감독에게 연락하기
4) 개인레슨을 받을 튜터를 찾아보기



제가 생각하는 정답은 여기에 없습니다. 저는 핸드폰을 이용해서 자기만의 영화를 촬영하고 편집해보는 경험을 하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내가 정말 영화감독을 하고 싶은지, 아닌지 빨리 알 수 있습니다.

자기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모른 채 대학교 1학년때 꿴 바늘을 끌고 인생을 살아갑니다.

저는 차라리 '빨리 실패해보아야 한다' 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실패에 관대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실패가 아니라 성공으로 이르는 길을 탐색하는 중이라고 여겨야 합니다. 그래야 경험도 쌓이고 맷집도 단단해지면서 후에 더 큰 일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작고 빠르게 시작해보고 경험해보는 것, 그것이 실행력도 높이고 첫 단추도 잘 꿰는 방법입니다.

2. 습관화 하기
이건 주변의 음악인들을 보면 흔히 있는 일 중 하나인데요, '유튜브 영상을 열심히 올릴거에요' 라며 채널을 만들고 페이스북 페이지를 만들지만 처음 1~2회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 역시도 그런 시행착오를 많이 거쳤구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제가 느낀 어려움은 촬영을 시작하기 위해서 너무 많은 힘을 들여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작게 시작해야 하는 이유가 또 있습니다. 바로 '습관화' 하기에 쉽기 때문입니다. 시작하는 첫 걸음을 너무 크게 잡으면 계속해서 반복하기 어렵습니다. 

3. 선택과 집중하기

두 마리 토끼를 쫒다가는 두 마리 모두 놓치게 될 것이다.
해야 할 모든 일들을 쭈욱 나열하고 첫 번째 도미노를 힘껏 내리치라고 말하죠. 이것저것 멀티테스킹으로 일하기보다는 필요한 일에만 집중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라는 것입니다.

마치며..

'모든 일은 마음먹기 나름' 이라는 말이 있죠. 그런데 저는 '실행하기 나름' 이라고 생각합니다. 실행해서 성공이든 실패든 경험을 쌓아가면서 일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https://brunch.co.kr/@steven/31
실행력은 ‘하기 싫은 것을 참고 실천할 때’ 가장 크게 성장한다.

'성공노트 > 일이 손에 안잡힐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으름과 무기력 타파방법  (0) 2024.05.23
일이 하기 싫고 손에 안 잡힐땐?  (0) 2024.05.14
의지력 키우는법  (0) 2024.02.26
일이 손에 안 잡힐때  (2) 2024.02.01
정신집중방법  (0) 2023.10.29